학습 장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습 장애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추론 또는 수학 능력의 습득 및 사용에 상당한 어려움을 보이는 이질적인 장애 집단으로 정의된다. 원인은 유전, 임신 및 분만 시 문제, 출산 후 사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정보 처리 단계별(입력, 통합, 저장, 출력) 또는 기능별(읽기 장애, 쓰기 장애, 수학 장애 등)로 유형이 분류된다. 진단은 전문가의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이루어지며, 최근에는 지원 중재 모델이 강조된다. 학습 장애는 학업 성과뿐만 아니라 사회성 문제도 야기할 수 있으며, 교정적 접근과 전략 교수 등의 교수법이 사용된다. 소수 민족 및 저소득층 학생에게 불균형적으로 진단되는 경향이 있으며,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될 수 있다. 지적 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 다른 상태와 구분되며, ADHD와 학습 장애는 함께 나타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습 장애 - 치매
치매는 만성적이고 비가역적인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인지 기능 장애가 발생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며, 알츠하이머병이 가장 흔한 원인이고, 기억력 저하, 언어 능력 장애, 판단력 저하 등의 증상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사회적 부담이 큰 질환이다. - 학습 장애 - 혈관성 치매
혈관성 치매는 뇌혈관 질환으로 뇌 조직 손상으로 인해 인지 기능이 저하되는 치매 유형으로, 기억력 감퇴, 운동 장애, 행동 변화, 언어 문제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심혈관계 질환 및 생활 습관, 유전자형 등이 위험 요인이고, 기저 질환 관리로 진행을 늦추고 증상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습 장애 | |
---|---|
기본 정보 | |
![]() | |
의학 정보 | |
진료 분야 | 정신과, 신경과 |
동의어 | 학습 곤란 발달성 학업 장애 비언어적 학습 장애 상세 불명의 학업 기술 발달 장애 상세 불명의 지식 습득 장애 상세 불명의 학습 장애 상세 불명의 학습 장애 |
관련 질환 | 지적 장애 |
일반 정보 | |
다른 이름 | 학습 곤란, 발달성 학업 장애, 비언어적 학습 장애, 상세 불명의 학업 기술 발달 장애, 상세 불명의 지식 습득 장애, 상세 불명의 학습 장애, 상세 불명의 학습 장애 |
관련 항목 | 난독증 |
영어 명칭 | |
영어 | learning disability |
약칭 | LD |
간호 | |
관련 간호 | 학습 장애 간호 |
2. 정의
미국 전국 학습 장애 공동 위원회(NJCLD)는 학습 장애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추론 또는 수학 능력의 습득 및 사용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으로 나타나는 이질적인 장애 집단"으로 정의한다.[10] 이러한 장애는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으며 중추 신경계 기능 장애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12] 학습 장애는 감각 장애, 지적 장애, 사회적 및 정서적 장애와 같은 다른 장애 조건이나, 문화적 차이, 불충분하거나 부적절한 교육, 심인성 요인과 같은 환경적 영향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지만, 그러한 조건이나 영향의 직접적인 결과는 아니다.[12]
학습 장애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명확한 원인 없이 학습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126] 신경정신적 장애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2002년 LD 라운드테이블은 학습 장애의 핵심 개념으로 개인에게 내재된 학습 및 인지 장애를 포함하며, 이러한 장애가 비교적 좁은 범위의 학업 및 성과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한다.[13][14]
대한민국 교육부(舊 문부성)는 1999년에 학습장애를 "기본적으로 전반적인 지적 발달에는 지체가 없으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계산하기 또는 추론하는 능력 중 특정 능력의 습득과 사용에 현저한 어려움을 보이는 다양한 상태"로 정의하였다.
3. 원인
4. 유형
학습 장애는 영향을 받는 정보 처리 유형이나 처리 결손으로 인한 특정 어려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영국에서는 특정 학습 장애(SpLD), 발달성 읽기 장애(난독증), 발달성 운동 조절 장애, 계산 장애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미국에서 "학습 장애"라고 하는 다양한 학습 장애를 포괄한다. 그러나 영국에서 "학습 장애"라는 용어는 더 심각한 전반적인 지적 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발달 장애 또는 질환을 가리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21]
4. 1. 정보 처리 단계별 분류
학습 장애는 학습에 사용되는 정보 처리의 네 단계, 즉 입력, 통합, 저장, 출력에 따라 넓은 범주로 분류된다.[59] 많은 학습 장애는 동시에 발생하는 몇 가지 유형의 이상과 사회적 어려움, 정서적 또는 행동적 장애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60]- 입력: 감각을 통해 인지되는 정보로, 시각 및 청각 지각 등이 해당된다. 시각 지각에 어려움이 있으면 보이는 물체의 모양, 위치, 크기 인식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순서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시간 간격 처리 또는 시간 지각의 결손과 관련될 수 있다. 청각 지각에 어려움이 있으면 교실 환경에서 교사의 목소리 등 특정 소리에 집중하기 위해 경쟁적인 소리를 걸러내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어떤 아이들은 촉각 입력을 처리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예를 들어 통증에 둔감하거나 만져지는 것을 싫어하는 경우가 있다.
- 통합: 인지된 입력이 해석, 범주화, 순서화되거나 이전 학습과 관련되는 단계이다. 이 영역에 문제가 있는 학생들은 이야기를 올바른 순서대로 말하지 못하거나, 요일과 같은 순서 정보를 암기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개념을 이해해도 다른 학습 영역으로 일반화하지 못하거나, 사실을 배워도 종합하여 "큰 그림"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어휘력이 부족하면 이해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저장: 기억력 문제는 단기 기억, 작업 기억, 장기 기억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대부분의 기억 장애는 단기 기억에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평소보다 더 많은 반복 없이는 새로운 자료를 배우기 어려워질 수 있다. 시각 기억에 어려움이 있으면 철자를 배우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 출력: 정보는 뇌에서 언어(구어) 또는 제스처, 쓰기, 그림과 같은 근육 활동을 통해 나온다. 언어 출력에 어려움이 있으면 말하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생각을 정리하여 말로 표현하는 과정이 어려울 수 있다. 같은 이유로 쓰기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운동 능력에 어려움이 있으면 대근육 운동 기술과 미세 운동 기술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근육 운동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은 걸려 넘어지거나, 떨어지거나, 물건에 부딪히는 등 어색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 또한 달리기, 오르기, 자전거 타기 등을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미세 운동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은 필기, 셔츠 단추 채우기, 신발끈 묶기 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4. 2. 기능별 분류
정보 처리 영역의 결손은 다양한 특수 교육 필요 학생 특수 학습 장애(SLD)로 나타날 수 있으며, 한 개인이 이러한 어려움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 이를 학습 장애의 동반 질환 또는 동시 발생이라고 한다.[61] 영국에서는 ''이중 진단''이라는 용어가 학습 장애의 동시 발생을 가리키는 데 자주 사용된다.- 읽기 장애: 가장 흔한 학습 장애이다.[62] 특정 학습 장애가 있는 학생 중 70~80%가 읽기 능력 부족을 보인다. 읽기 장애는 정확하거나 유창한 단어 인식 또는 둘 다, 단어 해독, 읽기 속도, 운율(표현력 있는 구어 독서), 그리고 읽기 이해를 포함한 읽기 과정의 어떤 부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발달성 읽기 장애"라는 용어가 주목받기 전에, 이 학습 장애는 "단어맹"으로 알려졌었다. 음운 인식(단어를 구성 음소로 분해하는 능력)의 어려움과 특정 음소에 문자 조합을 일치시키는 데 어려움(음소-기호 대응)이 읽기 장애의 일반적인 지표이다.
- 서면 표현 장애: 표준화된 검사 또는 기능 평가를 통해 측정된 개인의 쓰기 능력이 연령, 지능, 연령에 맞는 교육 수준을 고려할 때 현저히 낮은 수준인 경우(기준 A)를 말한다. 또한 이러한 어려움은 학업 성취도와 서면 텍스트 작성이 필요한 과제에 상당한 장애를 초래해야 하며(기준 B), 감각 결손이 있는 경우 쓰기 능력의 어려움은 일반적으로 감각 결손과 관련된 어려움을 초과해야 한다(기준 C).[63] 서면 표현 장애 진단을 받은 개인은 일반적으로 문장 내 문법 및 구두점 오류, 단락 구성 불량, 철자 오류가 많고 필체가 매우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서면 표현 능력에 어려움을 겪는다. 다른 서면 표현의 어려움 없이 철자나 필기의 장애만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 진단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다. 만약 서투른 필체가 개인의 운동 협응 장애 때문이라면 발달성 운동 조절 장애 진단을 고려해야 한다. 많은 기관에서 "난필증"이라는 용어를 모든 서면 표현 장애를 포괄하는 상위 용어로 사용해 왔다.
- 수학적 학습 장애: 때때로 발달성 계산 장애라고 불리는 수학적 학습 장애는 수량, 자릿값, 시간과 같은 수학 개념 학습의 어려움, 수학적 사실 암기의 어려움, 숫자 정리의 어려움, 그리고 문제가 페이지에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이해하는 데 어려움 등을 포함한다. 발달성 계산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종종 "수 감각"이 부족하다고 여겨진다.[64]
- 비언어적 학습 장애: 비언어적 학습 장애는 종종 운동 실조, 시각-공간 능력 저하, 문제가 있는 사회적 관계, 수학적 어려움 및 조직 능력 저하로 나타난다. 이러한 사람들은 종종 언어 영역에서 특정 강점을 가지는데, 이에는 조기 언어 습득, 풍부한 어휘력, 조기 읽기 및 철자 능력, 뛰어난 기억력과 청각 기억력, 그리고 유창한 자기 표현 등이 포함된다.[65]
- 말하기 및 듣기 장애: 학습 장애와 함께 자주 발생하는 어려움에는 기억력, 사회 기술 및 집행 기능(예: 조직 능력 및 시간 관리)의 어려움이 포함된다.
- 읽기 장애 (ICD-10 및 DSM-IV 코드: F81.0/315.00)
- 난독증 등
- 쓰기 장애 (ICD-10 및 DSM-IV-TR 코드 315.2)
- 난필증 등
- 수학 장애 (ICD-10 및 DSM-IV 코드 F81.2-3/315.1)
- 계산 장애 등
ICD-10에서는 학습 능력의 특수성 발달 장애라고 하며, 특수성 읽기 장애, 특수성 쓰기 장애, 수리 능력의 특수성 장애, 학습 능력의 혼합성 장애, 기타 학습 능력 발달 장애, 학습 능력 발달 장애 상세 불명으로 세분화되어 있다.[117]
DSM-IV-TR에서는 학습 장애라고 하며, 수학 장애, 읽기 장애, 쓰기 표현 장애, 특정 불가능한 학습 장애로 세분화되었다.
DSM-5에서는 특정 학습 장애(SLD, Specific learning disorder)라고 한다. DSM-IV-TR에서 세분화했던 장애는 포괄되어 중복되는 병태(스펙트럼)로 재정의된 특정 학습 장애의 한 형태가 되며, 읽기·쓰기·계산이라는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어를 추가하여 표시하게 되었다. 또한 중증도를 경증·중증·중증도의 3단계로 평가하게 되었다.
5. 진단
학습 장애 진단은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이루어진다. 과거에는 지능과 학업 성취도 간의 불일치를 기준으로 진단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중재 반응(Response to Intervention, RTI) 모델이 강조되고 있다.[35][36][37] RTI 모델은 조기 선별 검사, 연구 기반의 조기 개입, 학생의 반응에 따른 추가 지원 등을 통해 학습 장애를 진단하고 지원한다.[1]
미국에서는 학습 장애가 있는 개인의 교육과 복지에 전념하는 단체 대표들의 위원회를 전국 학습 장애 공동 위원회(NJCLD)라고 한다.[10] NJCLD는 아동의 명백한 학습 능력과 성취 수준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 '학습 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1] 1980년대에 NJCLD는 학습 장애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추론 또는 수학 능력의 습득 및 사용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으로 나타나는 이질적인 장애 집단으로 정의했다. 이러한 장애는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으며 중추 신경계 기능 장애 때문일 것으로 추정했다.
2002년 LD 라운드테이블은 특수 학습 장애(SLD) 개념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고 밝혔다. SLD의 중심 개념에는 개인에게 내재된 학습 및 인지 장애가 포함되며, 이는 좁은 범위의 학업 및 성과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에서 특수하다고 정의했다. 또한, SLD는 다른 장애 조건과 함께 발생할 수 있지만, 지적 장애, 행동 장애, 학습 기회 부족 또는 일차 감각 결핍과 같은 다른 조건 때문이 아니라고 했다.[13][14]
학습 장애를 정의하는 문제는 상당하고 지속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5] DSM-IV에는 "학습 장애"라는 용어가 없었지만, DSM-5에는 추가되었다. DSM-5는 학습 장애를 읽기, 수학 또는 쓰기 표현과 같은 특정 진단으로 제한하지 않고, 일반적인 학업 기술의 결함을 설명하는 단일 진단 기준을 제시하며, 읽기, 수학 및 쓰기 표현 영역에 대한 자세한 설명자를 포함한다.[16]
영국에서는 특정 학습 장애(SpLD), 발달성 읽기 장애, 발달성 운동 조절 장애, 및 계산 장애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미국에서 "학습 장애"라고 하는 다양한 학습 장애를 포괄한다.[21]
학습 장애는 정신과 의사, 언어치료사, 학교 심리학자, 임상 심리학자, 상담 심리학자, 신경심리학자, 언어치료사 및 기타 학습 장애 전문가에 의해 지능 검사, 학업 성취도 검사, 교실 수업 성적, 사회적 상호 작용 및 적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확인할 수 있다. 평가 영역에는 지각, 인지, 기억, 주의력 및 언어 능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지능지수(IQ)와 학업 성취도의 차이를 기반으로 하는 차이 모델은 오랫동안 학교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접근 방식에 대한 상당한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35][36][37]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공식적으로 측정된 IQ와 학업 성취도 간의 차이가 학습 장애의 명확한 지표가 된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38]
최근 많은 연구는 지능검사 과정에 중점을 둔 치료 중심의 지원 중재(RTI) 모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자들의 권장 사항에는 모든 학생에 대한 조기 선별 검사,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진단 기준을 충족할 때까지 기다리는 대신 연구 기반의 조기 개입 프로그램에 배치하는 것이 포함된다. RTI는 현재 플로리다주에서 학습 장애를 식별하는 주요 수단이다.
하지만 이 과정은 음운 인식 및 기억력과 같은 아동의 개별적인 신경심리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으며, 이는 교육 설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41]
미국 인구통계학자들은 지난 20년 동안 미국 내 이민자 어린이의 수가 크게 증가했다고 보고하고 있다.[42] 다양한 언어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에게는 전통적인 영어권 학생들에게 사용되는 교육 방식보다 다양한 교육 전략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영어 학습자(ELL)의 학습 장애 진단 방법도 달라야 한다. 현재 특정 학습 장애(SLD)가 있는 ELL을 진단하는 표준화된 지침은 없다.
기본적인 학업 영역(읽기, 수학, 쓰기)의 능력 평가에는 여러 표준화된 평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읽기는 단어 인식, 유창성, 이해력을 포함하고, 수학은 계산과 문제 해결을 포함하며, 쓰기는 필기, 철자, 작문을 포함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합적인 성취도 검사에는 우드콕-존슨 IV(WJ IV), 벡슬러 개별 성취도 검사 II(WIAT II), 광범위 성취도 검사 III(WRAT III), 스탠퍼드 성취도 검사 제10판이 포함된다.[1]
평가의 목적은 개입에 필요한 것을 결정하는 것이며, 이는 맥락 변수와 행동 문제나 언어 지연과 같이 함께 확인하고 치료해야 하는 동반 질환이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1]
6. 특성 및 증상
학습 장애나 학습 편차는 학업 성과뿐만 아니라 사회성 문제도 야기한다. 신경심리적 차이로 인해 또래들의 사회적 단서를 알아차리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18] 연구에 따르면 학습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학습 편차와 낙인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24] 특수 교육 서비스의 유효성은 데이터 및 방법론적 한계로 인해 확정하기 어렵다. 최근 연구에서는 학습 장애를 가진 청소년이 비슷한 수준의 성취와 행동을 보이는 또래에 비해 학업 성적이 더 낮다고 한다.[119] 이는 교사의 낮은 기대치 때문일 수 있다. 미국의 전국 데이터에 따르면, 시험 점수나 학습 행위를 통해 증명되는 학습 잠재력과 달리 학습 장애 학생에 대한 기대가 낮다.[120] 학습 장애와 아동의 성적 간에는 강력한 연관성이 있다.[121]
많은 연구에서 학습 장애와 자존감 간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학습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학생들은 실제 성적과 상관없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자존감이 높다. 그러나 체육이나 미술 등 비학업적인 영역, 외모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역시 자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학습 장애 학생들은 자신의 학업 기술과 지적 능력을 구분할 수 있다. 즉, 자신의 학업적 한계를 알지만 다른 지적 과제를 성공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인식하는 학생은 자신을 지적으로 유능하다고 여겨 자존감이 높아진다.[122]
학습 장애를 가지면서 장애 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이들이 정신병약을 복용하는 것이 위험을 상쇄할 만큼 이점이 있다고 입증되지 못하였다.[123]
학습 장애 아동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130][131]
특성 | 설명 |
---|---|
학업적 특성 | 읽기, 말하기, 듣기, 쓰기, 셈하기, 추론하기 등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인다. 특히 읽기 장애가 가장 많으며, 글자를 빠뜨리거나 추가하는 등의 문제를 보인다. |
인지적 특성 | 낮은 기억력을 보이고 인지 전략을 잘 사용하지 못하지만, 평균 지능을 가지고 있다. |
정서적 특성 | 낮은 학업 성취로 인한 자신감 결여, 부정적인 자아 개념, 위축 등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안정적인 정서를 가지고 사회적으로 잘 지내는 경우도 있다. |
사회적 특성 | 상황 판단을 잘못하여 부적절하게 행동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적으로 거부되기 쉽다. 사회적 거부가 반복되면 정서적으로 위축되어 다른 사람과의 관계 맺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
신체적 특성 | 운동 능력 부족으로 도구를 사용하는 활동에 어려움을 겪거나 어설픈 동작을 보일 수 있다. 시각적, 청각적 정보 처리 문제로 학업적 문제를 보일 수 있다. |
7. 교수법
학습 장애 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으로는 교정적 접근과 전략 교수가 있다. 교정적 접근은 읽기, 쓰기, 어휘 및 독해력, 수학 등 기본적인 기술을 여러 단계를 거쳐 향상시키는 교수법이다.[132] 독해력 향상을 위해서는 상보적 교수방법, 자기점검 독해력 전략 등을 사용한다.[132] 수학 개념을 가르칠 때는 구체물-반구체물-추상물 순서를 따르며, 수학 문장제 문제는 인지 및 초인지 전략의 7단계를 거쳐 풀도록 한다.[132]
학습전략 교수는 비효율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하는 학습 장애 학생들에게 인지전략과 초인지 전략을 활용하도록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미국 캔자스 대학에서 개발한 학습전략에는 시험 준비, 노트 필기, 시간 관리 등의 일반전략이 있다.[132]
효과적인 교수법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132]
- 과제의 난이도 조절
- 소집단 상호작용을 위한 집단 구성
- 기본적 기술 교육
- 문제해결 기술 교육
- 초인지 전략 사용을 위한 학습 과정 모델 제시
최근 연구는 지원 중재(Response to Intervention, RTI) 모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모델은 모든 학생에 대한 조기 선별 검사, 연구 기반의 조기 개입 프로그램, 학생들의 성과 모니터링을 통해 추가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을 진단한다. RTI 모델은 학습장애 진단까지 기다리지 않고 조기에 지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하지만, 이 과정은 아동의 개별적인 신경심리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으며, 교육자들에게 학생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41]
교실 조정 방법으로는 특별한 좌석 배치, 수정된 과제 및 시험 절차, 조용한 환경 제공 등이 있다.[66] 특수 장비로는 맞춤법 검사기와 사전이 있는 워드 프로세서, 텍스트 음성 변환 및 음성 텍스트 변환 프로그램, 말하는 계산기, 오디오북, 컴퓨터 기반 활동 등이 있다.[66]

8. 사회 문화적 측면
미국에서는 학습 장애(Learning Disability)와 학습 장애(Learning Disorder, LD)라는 용어가 광범위한 학업 및 기능적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를 포괄한다. 이러한 장애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철자, 추론, 정보 정리 및 수학 능력 등을 포함한다. 학습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평균 이상의 지능을 가지고 있다.[17] 1973년 제정된 재활법 504조는 장애인의 권리를 보호하며, 장애인교육법은 장애 아동에게 특수 교육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규정한다.[19]
일본에서는 학습 장애 학생에 대한 인식과 지원이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졌다. 1999년에 학습 장애에 대한 최초의 정의가 만들어졌고, 2001년에는 학습 장애 학생 지원 시스템 강화 프로젝트가 수립되었다.[23] 2000년부터 일본 LD(학습장애) 학회가 LD 교육사 자격을 설치했고, 2005년부터는 특수교육교사(LD·ADHD 등)로 명칭을 변경했다. 학교교육에서는 2006년 4월 1일부터 통합교육의 대상, 2007년 4월부터는 특수교육의 대상이 되었으나, 다른 장애에 비해 대응이 늦어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민자 어린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언어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 방식과 학습 장애 진단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42] 그러나 현재 특정 학습 장애(SLD)가 있는 영어 학습자(ELL)를 진단하는 표준화된 지침은 없으며, 이로 인해 많은 학생들이 지원을 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44] 훈련받은 교직원 부족, 문화 적응 문제, 언어 장벽 등 다양한 요인들이 이민자 어린이들의 학습 장애 진단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47]
표준화된 시험의 공정성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학습 장애가 있는 학생들에게 시험 편의 제공이 일반화되고 있지만, 필기 편향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76] 필기 편향은 채점자가 워드프로세서로 작성된 에세이보다 손으로 쓴 에세이에 더 높은 점수를 주는 경향을 의미한다.[77]
학습 장애 이론은 장애의 의학적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장애의 사회 모델 연구자들은 장애 부여에 사회적, 구조적 원인이 있다고 주장한다.[79] 특히, 서구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속도, 읽기 및 쓰기 능력, 산술 능력에 높은 가치를 두기 때문에 학습 장애 진단이 널리 퍼져 있다.[88]
미국에서는 소수 민족 아동이 백인 아동보다 특수 교육에 배정되는 비율이 높고, 특수 교육 내에서도 제한이 덜한 프로그램에 배정되는 경향이 있다.[91] 교육자들은 최근에야 문화가 학습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시작했으며, 교사가 학생의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학생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93]
학습 장애는 인종 및 민족적 소수 집단과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불균형적으로 진단되는 경향이 있다.[95] 저소득 청소년의 학습 장애 발생 또는 진단 위험이 더 높은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9. 성인의 학습 장애
성인이 되어도 학습 장애는 사라지지 않으며, 대부분의 학습 장애 성인은 여전히 장애 관리를 위한 자원과 지원이 필요하다.[102]
주(州) 차원의 성인 기초 교육(ABE, Adult Basic Education) 프로그램은 학습 장애 성인을 위한 자원을 제공한다.[102] ABE 프로그램은 자립을 위한 기본 생활 기술 습득을 돕고, 고등학교 졸업장이나 GED와 동등한 자격이 없는 성인을 지원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성인이 직장에 취업하거나 더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을 가르친다.[103] 일부 ABE 프로그램에서는 GED 준비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성인들이 GED 취득 과정을 지원한다.[104] ABE 프로그램이 고용과 같은 측면에서 항상 기대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닌데, 고용은 ABE 프로그램 수료 후 일자리 보장 이상의 요소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고용은 ABE 프로그램에서 참가자가 경험하는 성장 수준, 참가자의 성격과 행동, 그리고 ABE 프로그램 수료 후 진출하는 고용 시장에 따라 달라진다.[104]
"주택 및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HCBS, Home and Community Based Services)는 연방 프로그램으로, 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성인을 위해 사용되지만, 학습 장애 성인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105] HCBS 프로그램은 치료, 사회 기술 훈련, 지원 그룹 및 상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105]
10. 다른 상태와의 비교
지적 장애는 지능 지수(IQ)가 70 미만인 경우로, 전반적인 지능 저하로 인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학습 능력의 어려움이 전반적인 지능 저하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학습 장애와는 구분된다.[106]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학습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지만, 표준적인 학습 장애 정의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ADHD 치료를 통해 학습 능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ADHD와 학습 장애는 함께 나타날 수 있다.[106] ADHD를 가진 사람들은 동기 부족, 높은 수준의 불안, 정보 처리 능력 저하 등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107] 약물 치료, 학습 기술 향상, 웹사이트, 스터디 그룹, 학습 센터와 같은 대체 정보 수집 방법을 통해 학업적으로 성공할 수 있다.[107]
참조
[1]
뉴스
October Is Learning Disabilities Awareness Month in Canada!
http://www.baytoday.[...]
LDAO – North Bay and Area News Release
2012-09-30
[2]
웹사이트
Developmental academic disorder (Concept Id: C1330966) - MedGen
https://www.ncbi.nlm[...]
2019-12-20
[3]
웹사이트
What are learning difficulties?
https://www.readands[...]
2019-05-31
[4]
웹사이트
Code System Concept
https://phinvads.cdc[...]
2018-12-05
[5]
웹사이트
2020 ICD-10-CM Diagnosis Code F81.9: Developmental disorder of scholastic skills, unspecified
https://www.icd10dat[...]
2019-10-01
[6]
논문
Use of the term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United Kingdom: issues for international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ttps://repository.u[...]
2016-03-01
[7]
서적
Childhood Voyages in Development
Thomson Wadsworth
2012-12-19
[8]
논문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Physical Therapists in Elementary School System Early Intervening Services and Response to Intervention: A Case Report
2011-01-19
[9]
논문
Response to Intervention: Is the Sky Falling?
2016-05
[10]
웹사이트
National Joint Committee on Learning Disabilities
http://www.ldonline.[...]
WETA
2010
[11]
기타
2016-09
[12]
논문
LD Definition
1987-05
[13]
서적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to practi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5-02
[14]
보고서
And Miles to Go...: State SLD Requirements and Authoritative Recommendations
http://nrcld.org/abo[...]
2003-08-20
[15]
논문
Definitions of Learning Disabilities from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Insiders' Perspectives
1993
[16]
웹사이트
Specific Learning Disorder
http://www.dsm5.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05-15
[17]
웹사이트
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
https://ldaamerica.o[...]
Learning Disabilities Association of America
2018-07-04
[18]
논문
The Antodiscrimination Model Reconsidered: Ensuring Equal Opportunity Without Respect to Handicap Under Section 504 of the Rehabilitation Act of 1973
[19]
법률
USC
[20]
기타
Learning disabilities in Canada
2016-11-01
[21]
웹사이트
Learning Disabilities Factsheet
http://www.bild.org.[...]
British Institute of Learning Disabilities
2017-09-13
[22]
논문
Demography still dictates destin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23]
논문
Principal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Learning Disabilities: A Study from NARA Prefecture, Japan
2004-08
[24]
서적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The syndrome and the model
New York: Guilford Press
[25]
논문
Equity or Marginalization? The High School Course-Taking of Students Labeled With a Learning Disability
[26]
논문
Stigma of a Label: Educational Expectations for High School Students Labeled with a Learning Disability
[27]
논문
Primary headaches, attention deficit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3-06-27
[28]
논문
Self-Understanding and Self-Esteem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29]
논문
Antipsychotic medication for challenging behaviour in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y
2004
[30]
논문
Prevalence and architecture of de novo mutations in developmental disorders
http://eprints.white[...]
[31]
뉴스
Child gene study identifies new developmental disorders
https://www.bbc.co.u[...]
2017-01-25
[32]
논문
Learning Disabilities in Children: 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33]
웹사이트
Helping Children with Learning Difficulty
http://apparentlifes[...]
2014-07-09
[34]
논문
Neuropsychological deficits following head injury in children
Informa UK Limited
[35]
논문
Differential Diagnosis of Reading Disabilities
[36]
서적
Contemporary intellectual assessment: theories, tests, and issues
Guilford Press
[37]
서적
Contemporary intellectual assessment: theories, tests, and issues
https://archive.org/[...]
Guilford Press
2012
[38]
서적
Learning Disabilities: From Identification to Intervention
The Guilford Press
[39]
학술지
Development of a general ability index for the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Third Edition
[40]
서적
Rethinking Special Education For A New Century
http://www.ppionline[...]
Progressive Policy Institute / The Thomas B. Fordham Foundation
2007-06-03
[41]
논문
Neuro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Era of RTI: Recommendations for Diagnosis and Intervention
[42]
보고서
Child Trends
2016-09-00
[43]
학술지
Understanding the plight of immigrant and refugee students
http://www.nasponlin[...]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Psychologists
2011-01-00
[44]
학술지
The special education referral and decision-making process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Child study team meetings and placement conferences
2006-00-00
[45]
논문
Sampling linguistic diversity to understand language development
http://dx.doi.org/10[...]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23-11-18
[46]
웹사이트
Teaching Bilingual Learners with Disabilities in An Integrated Co-Teaching Dual Language Program
https://www.colorinc[...]
2016-00-00
[47]
보고서
The Healthy People 2020 Roadmap for Massachusetts Children & Youth with ASD/DD: Understanding Needs and Measuring Outcomes
https://shriver.umas[...]
UMASS Chan Medical School
2022-06-30
[48]
보고서
2016-09-00
[49]
보고서
2016-09-00
[50]
서적
Meeting the psychoeducational needs of minority students: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school psychologists and other school personnel
Wiley and Sons
2013-00-00
[51]
서적
Psychological assessment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hildren and adolescents: A practitioner's guide
Springer
[52]
학술지
How Should We Educate Students Whose Cultures Frown upon Rational Disputation?
http://dx.doi.org/10[...]
2017-09-21
[53]
웹사이트
http://www.sedl.org/[...]
Southwest Educational Development Laboratory (SEDL)
2007-09-15
[54]
서적
Dementia and memory: a guide for stud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Ashgate
[55]
학술지
The Central Executive System in people with Down's syndrome and dementia
Taylor & Francis (Routledge)
[56]
학술지
Investigation into Down's syndrome and dementia
[57]
학술지
Examining dementia in Down's syndrome (DS): decline in social abilities in DS compared with other learning disabilities
Taylor & Francis (Routledge)
[58]
학술지
Assessing dementia in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59]
웹사이트
Reading and Learning Disabilities
http://www.nichcy.or[...]
Academy for Educational Development (AED)
2007-05-11
[60]
학술지
Learning Disabilities
1996-00-00
[61]
비디오
Dyslexia, Dyspraxia & Overlapping Learning Difficulties
https://www.youtube.[...]
2024-11-29
[62]
학술지
Learning disabilities, dyslexia, and vision.
2011-03-00
[63]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is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64]
웹사이트
Dyscalculia expert Jane Emerson explains number sense and its relevance to dyscalculia
http://www.dystalk.c[...]
dystalk.com
2009-04-23
[65]
서적
Learning disabilities: theories, diagnosis, and teaching strategies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66]
웹사이트
Direct Instruction
http://www.nifdi.org
2014 National Institute for Direct Instruction
[67]
학술지
Resource Room Teachers' use of Strategies that Promote the Success of Handicapped Students in Regular Classrooms
1991-01-01
[68]
서적
Teachers, Schools and Society: A Brief Introduction to Education with Bind-in Online Learning Center Card with free Student Reader CD-ROM
McGraw-Hill Humanities/Social Sciences/Languages
[69]
서적
Our labeled children: What every parent and teacher needs to know about learning disabilities
Perseus Publishing Group
[70]
학술지
1973-12-00
[71]
웹사이트
Dyslexia in the Writing Center: Multimodal Strategies
https://thepeerrevie[...]
2020-07-24
[72]
논문
Impact of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on Self-Esteem among Adults with Disabilities: A Four-Year Follow-Up Study
2022-01-01
[73]
간행물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14-01-01
[74]
판례
1982-01-01
[75]
판례
1974-01-01
[76]
논문
Extended Time Testing Accommod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swers to Five Fundamental Questions
https://www.jstor.or[...]
2010-01-01
[77]
논문
Timed Essay Writing: Implications for High-Stakes Tests
http://journals.sage[...]
2007-07-01
[78]
논문
It Depends: A Sociohistorical Account of the Definition and Methods of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http://www.nccrest.o[...]
2006-11-01
[79]
논문
The Discursive Practice of Learning Disability: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and Parent-School Relations
2004-01-01
[80]
서적
Learning Disability: Social Class and the Construction of Inequality in American Education
Greenwood Press
1986-01-01
[81]
논문
The Social Construc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2004-01-01
[82]
논문
To be labelled, or not to be labelled: that is the question
2004-06-01
[83]
논문
Mental health support needs of people with a learning difficulty: a medical or a social model?
2005-05-01
[84]
서적
Towards a Social Model of (In)compet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01-01
[85]
논문
Reforming Education, Transforming Religion, 1876-193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01-01
[86]
서적
States and Categories: Indigenous Models of Personhood in Northwest Green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01-01
[87]
서적
Work, Opportunity and Culture: (In)competence in Greece and Wa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01-01
[88]
논문
The Secret of Eternal Youth: Identity, Risk and Learning Difficulties
1999-01-01
[89]
논문
Explaining Educability: An Investigation of Political Support for the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ct of 1969
1983-01-01
[90]
논문
Towards a Sociological Critique of the Normalisation Principle
1992-01-01
[91]
논문
The cultural work of learning disabilities
2006-01-01
[92]
논문
Learning disabilities or difference: A critical look at issues associated with misidentification and placement of Hispanic students in special education programs
2003-01-01
[93]
논문
Beyond culture as group traits: Future learning disabilities ontology, epistemology, and inquire on research knowledge use
2011-01-01
[94]
논문
Culturally responsive practices for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2011-01-01
[95]
논문
The Disproportionate Representation of African Americans in Special Education: Looking Behind the Curtain for Understanding and Solutions
1998-01-01
[96]
논문
Disability Justifies Exclusion of Minority Students: A Critical History Grounded in Disability Studies
2006-01-01
[97]
논문
Overrepresentation of Minority Students: The Case for Greater Specificity or Reconsideration of the Variables Examined
1998-01-01
[98]
논문
Achieving Equity in Special Education: History, Status, and Current Challenges
http://www.freepaten[...]
2012-08-06
[99]
서적
Social inequality
Russell Sage Foundation
2004-01-01
[100]
서적
Disability as a Fluid State
2011-06-17
[101]
논문
Disproportionality and Learning Disabilities: Parsing Apart Race, Socioeconomic Status, and Language
http://www.prc.utexa[...]
2010-01-01
[102]
논문
Introduction to the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Special Issue: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Adult Education
https://journals-sag[...]
2012-01-01
[103]
논문
Adult Education and Learning Disabilities
https://journals-sag[...]
2000-10-01
[104]
논문
Return on Investment for Adult Basic Education: Existing Evidence and Future Directions
https://web-a-ebscoh[...]
2021-01-01
[105]
논문
Service Use and Unmet Needs Among Adults with Autism Awaiting Home‑ and Community‑Based Medicaid Services
https://link.springe[...]
2020-07-15
[106]
웹사이트
Learning problems.
https://kidshealth.o[...]
2015
[107]
저널
The learning and study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with ADHD
Wiley-Blackwell
[108]
뉴스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and Learning Disabilities
Dotdash
2021-01-21
[109]
저널
Understanding Motor Skills in Children with Dyspraxia, ADHD, Autism, and Other Learning Disabilities Lisa A Kurtz Understanding Motor Skills in Children with Dyspraxia, ADHD, Autism, and Other Learning Disabilities Jessica Kingsley2007£12.9916097818431086589781843108658
http://dx.doi.org/10[...]
2008-03
[110]
웹사이트
Gale - Product Login
https://galeapps.gal[...]
2023-03-23
[111]
저널
The Effects of Reading Fluency Interventions on the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Performance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Synthesis of the Research from 2001 to 2014
2017-09
[112]
뉴스
October Is Learning Disabilities Awareness Month in Canada!
http://www.baytoday.[...]
LDAO – North Bay and Area News Release
2012-09-30
[113]
서적
Childhood Voyages in Development Third Edition
Thomson Wadsworth
2012-12-19
[114]
웹사이트
What is a learning disability?
http://www.nhs.uk/Li[...]
국민보건서비스
[115]
용어
learning disability nursing
[116]
웹사이트
イギリスの医療保険制度NHSのサイト内の学習障害看護での看護師の就職について
http://www.nhscareer[...]
[117]
웹사이트
学習能力の特異的発達障害
http://www.dis.h.u-t[...]
[118]
서적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The syndrome and the model.
Guilford Press
[119]
저널
Equity or Marginalization? The High School Course-Taking of Students Labeled With a Learning Disability
[120]
저널
Stigma of a Label: Educational Expectations for High School Students Labeled with a Learning Disability
[121]
저널
Primary headaches, attention deficit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3-06-27
[122]
저널
Self-Understanding and Self-Esteem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123]
저널
Antipsychotic medication for challenging behaviour in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y
2004
[124]
저널
Prevalence and architecture of de novo mutations in developmental disorders
http://eprints.white[...]
[125]
뉴스
Child gene study identifies new developmental disorders
https://www.bbc.co.u[...]
2017-01-25
[126]
저널
Learning Disabilities in Children: 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127]
웹사이트
Helping Children with Learning Difficulty
http://apparentlifes[...]
2014-07-09
[128]
저널
Neuropsychological deficits following head injury in children.
[129]
서적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130]
서적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131]
서적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132]
서적
특수교육학개론
학지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